가격제한폭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2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숫자로 본 변화 & 특징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한국거래소는 1년 전에 주식시장의 역동성을 키우기 위해 가격제한폭을 ±15%에서 ±30%로 확대했다.

이와 함께 정적 변동성 완화장치와 단계별 서킷브레이커(CB·거래 일시 정지) 제도를 도입하는 등 다양한 보완 장치를 마련했다.

가격제한폭 확대 이후의 증시 변화를 숫자로 풀어본다.

▲ 1 = 가격제한폭 확대 시행 이후 지난달 말까지 일중 지수 변동성은 평균 1%였다. 이는 확대 시행 전인 작년(작년 초∼6월12일)보다 0.2%포인트 높은 것이다. 당일 고가와 저가의 차를 고가와 저가의 평균값으로 나눈 일중 변동성은 당일 평균치에서 위아래로 지수가 얼마나 움직였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 4 = 유가증권시장의 가격제한폭은 증시 개설 초기 정액제에서 1995년 정률제로 바뀐 이후 작년까지 모두 4차례 확대됐다. 1996년 11월(±6%→±8%), 1998년 3월(±8%→±12%), 1998년 12월(±12%→±15%)에 단계적으로 변경됐다. 코스닥시장은 11단계의 정액제를 1996년 11월 정률제(±8%)로 바꾸고서 1998년 5월(±12%)과 2005년 3월(±15%)에 가격제한폭을 확대했다.

▲ 5 = 새 제도 시행 이후 최장 기간 연속 상한가 기록은 5일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동부건설[005960]이 유일하게 가격제한폭 작년 9월 4일부터 10일까지 5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용현BM[089230](작년 12월16일∼22일), 와이제이엠게임즈[193250](올해 3월11일∼17일), 코아로직[048870](올해 4월26일∼5월2일)이 5일 연속 상한가를 쳤다. 우선주 가운데서는 태양금속우가 지난해 6월 15일부터 24일까지(하루 매매가 정지된 18일 제외) 7거래일 연속 상한가 행진을 펼치기도 했다. 최장 연속 하한가는 삼양통상[002170], 조광피혁[004700], 삼부토건[001470], 나노스[151910]가 기록한 2일이다.

▲ 6.1 = 가격제한폭 확대 이후 지난달 31일까지 하루 평균 상한가 종목 수는 6.1개였다. 시행 전인 작년 초∼6월12일의 18.7개와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하루 평균 하한가 종목은 새 제도 시행 전 4.1개에서 시행 후 0.3개로 급감했다.

▲ 7 = 가격제한폭 확대 시행 첫날 총 7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태양금속우[004105]가 제도 변경 이후 첫 번째로 상한가에 진입했다. 태양금속[004100], 삼양홀딩스[000070], 계양전기우[012205]는 상한가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시장에선 대호피앤씨우[021045], 제주반도체[080220], GT&T(상장폐지)가 상한가를 기록했다. 첫날 하한가로 떨어진 종목은 없었다.

▲ 10 = 중국 증시의 가격제한폭은 ±10%다. 아시아 주요국은 가격제한폭을 두고 있다. 가격제한폭을 두면서도 정적·동적 변동성 완화장치를 운영하고, 시장 전체 안정화 장치인 서킷브레이커까지 운영하는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 15 =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과는 달리 코넥스 시장의 가격제한폭은 여전히 ±15%다.

▲ 60 = 파생상품시장의 가격제한폭은 종전까지 상품별로 ±10∼30% 수준에서 3단계에 걸쳐 최대 ±60%(변동성지수선물)까지 확대됐다.

▲ 75 = 가격제한폭 확대 시행에 맞춰 시장 안정화 대책으로 도입된 정적 변동성 완화장치는 첫날 유가증권시장에서 75회, 코스닥시장에서 140회 발동됐다. 정적 변동성 완화장치는 전날 종가 또는 직전 단일가와 비교해 장중 주가 변동폭이 10%를 넘으면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하는 것이다.

▲ 551 = 코데즈컴바인[047770]은 지난 3월 3일 상한가를 기록한 이후 8거래일간 4차례 상한가를 기록해 551%나 급등했다. 가격제한폭이 확대되면서 유통 주식 수가 많지 않은 종목의 이상 급등락이 심하게 나타났는데, 코데즈컴바인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 ∞ = 미국과 유럽 등 증시가 성숙한 국가의 거래소에선 서킷브레이커와 같은 변동성 완화장치만 시행할 뿐 가격제한폭을 두고 있지 않다.

earticle

Do the Price Limits in KOSDAQ Market change on the Volatilit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price limits change in KOSDAQ market change on the volatility. The sample period ranges from 22 May 2000 to 24 March 2010 for daily data. We construct 가격제한폭 two subsample periods for comparing with the effect of the change of the price limit. These limits were relaxed from 12% to 15% on March 25, 2005. The first subsample period is from 25 March 2000 to 24 March 2005. The second subsample period is from 25 March 2005. to 24 March 2010. We employee four different volatility, which are the range-based volatility of Parkinson(1980; PK), Garman and Klass(1980; GK) Rogers and Satchell(1991; RS), Yang and Zhang(2008; YZ). The empirical result as follows.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volatility of individual stocks in KOSDAQ market reduces significantly after the price limit change. Second, There is so high volatile especially when the volatility of stock prices is high. Third, There is 가격제한폭 no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volatility and market capitalization. Fourth, the more volume stocks reduce the volatility. Our results show the volatility decreased the more large volume, the more trading amount and the high price stock.

본 연구는 종가기반의 변동성 대신 일중의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된 범위변동성을 이용하여 가격제한 제도 변화 전·후의 변동성 추이를 살펴보고, 가격제한 제도가 실제로 주식시장의 가격안정성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에 사용된 범위변동성은 Parkinson(1980; PK), Garman and Klass(1980; GK) Rogers and Satchell(1991; RS), Yang and Zhang(2000; YZ)가 제시한 범위변동성을 사용하였으 며 추정된 범위변동성을 전체기간과 가격제한 완화 전 기간과 가격제한 완화이후기간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격제한폭 완화 이후 코스닥시장의 개별기업 변동성이 가격제한폭 완화 이전 보다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4가지 범위변동성에서 동일하게 1% 유의수준에서 나타났다. 둘째, 고 주가 주식이 저주가 주식보다 높은 변동성을 가지며, 가격제한폭 완화 후 변동성이 축소된 것으로 나 가격제한폭 타났다. 셋째, 시가총액과 변동성과는 의미 있는 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범위변 동성은 거래량이 낮은 주식이 거래량이 증가함에 변동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격 제한폭 완화 이후 유동성이 가장 높은 주식의 변동성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며 거래량이 적은 주식 은 미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PK, GK, RS, YZ 범위변동성이 감소된 포트폴리 오는 거래대금의 규모가 가장 큰 포트폴리오로 나타났으며, 변동성 변화가 가장 적은 가격제한폭 포트폴리오는 거의 가격제한폭 완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가격제한폭 완화에 따라 서 변동성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고주가, 대규모 거래량, 거래대금이 큰 주식의 변동성을 낮게 하여 단기적으로 주가 급등락을 막아 시장안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저주가, 소규모 거래량, 소규모 거래대금의 주식의 변동성에 대해서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사용하고 있 는 명시적이면서 고정적인 가격제한폭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주식시장의 안전망, 가격제한폭

주식의 가격 변동, 과연 제한이 있을까요? 투자자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인 가격제한폭 에 대해 알려드립니다!가격제한폭

삼성자산운용_펀드밀어보기_가격제한폭_1표지_160519 가격제한폭 주식시장의 안전망, 가격제한폭 삼성자산운용_펀드밀어보기_가격제한폭_1표지_160519 1 160519 삼성자산운용_펀드밀어보기_가격제한폭_2_160519 가격제한폭 주식시장의 안전망, 가격제한폭 삼성자산운용_펀드밀어보기_가격제한폭_2_160519 2 160519

최근, 금리가 낮아지면서 주식 투자에 관심을 갖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주가 때문에 망설이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이렇게 주가의 변동은 주식에 대한 가장 큰 기대가 되기도 하고, 불안이 되기도 합니다.

삼성자산운용_펀드밀어보기_가격제한폭_3_160519 가격제한폭 주식시장의 안전망, 가격제한폭 삼성자산운용_펀드밀어보기_가격제한폭_3_160519 3 160519

특히 단순한 주가 변동을 넘어선 예상치 못한 주가의 폭락이나 폭등은 많은 투자자들에게 혼란을 주게 되는데요. 그 피해를 막기 위한 것이 바로 ‘가격제한폭’ 제도입니다. 전날의 종가를 기준으로 당일의 그 주가가 오르고 내릴 수 있는 한계선을 지정해 놓는 것이죠.

삼성자산운용_펀드밀어보기_가격제한폭_4_160519 가격제한폭 주식시장의 안전망, 가격제한폭 삼성자산운용_펀드밀어보기_가격제한폭_4_160519 4 160519

해당 주가가 가격제한폭의 끝까지 올라가면 상한가, 바닥까지 내려가면 하한가라고 부릅니다. 주식의 거래는 이 상한가와 하한가의 사이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제도가 시장의 안정성을 어느 정도 유지해 줄 수 있어요.

삼성자산운용_펀드밀어보기_가격제한폭_5_160519 가격제한폭 주식시장의 안전망, 가격제한폭 삼성자산운용_펀드밀어보기_가격제한폭_5_160519 5 160519

하지만 이러한 가격제한폭 제도 때문에 주가가 신속하게 반영되지 못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상한가나 하한가 이외에서는 거래하지 않아 주가가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죠. 때문에 미국, 영국, 독일 등 주요 선진국들은 가격제한폭을 두지 않고 있어요.

삼성자산운용_펀드밀어보기_가격제한폭_6_160519 가격제한폭 주식시장의 안전망, 가격제한폭 삼성자산운용_펀드밀어보기_가격제한폭_6_160519 6 160519

지난해, 우리나라에서도 17년 만에 가격제한폭을 15%에서 30%로 확대 시행했는데요. 변동성이 커져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와 달리, 시장의 정보가 보다 빨리 주가에 가격제한폭 반영되며 비효율이 개선되었다는 긍정적 평가가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삼성자산운용_펀드밀어보기_가격제한폭_7_160519 가격제한폭 주식시장의 안전망, 가격제한폭 삼성자산운용_펀드밀어보기_가격제한폭_7_160519 7 160519

가격제한폭이라는 안전망이 확대되면서 더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는 주식시장. 투자자들은 좀 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겠지만, 이는 보다 자유롭고 적극적인 투자의 기회가 될 수 있겠죠?

DBpia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간편 교외 인증 이벤트 응모

표지

내서재 담기 미리보기 이용하기

초록 · 키워드 목차 오류제보하기

가격제한폭 확대 조치가 주가수익률과 주식거래량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가격제한폭 확대가 주가수익률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주가변동성(주가수익률의 변동성)에는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격제한폭 확대 조치와 주가변동성의 가격제한폭 증감 사이에 일정한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격제한폭 확대는 KOSPI 시장의 거래량과 KOSDAQ 시장의 거래량에 상반된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식거래량의 변동성을 증가시키는 성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격제한폭 확대가 주가수익률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격제한폭 확대 이전에는 주식시장의 위험이 주가수익률에 일부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격제한폭 확대 이후에는 이러한 현상이 거의 사라진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가격제한폭 확대 조치의 단행이 주식시장에 존재하던 불확실성을 일부 해소한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동일한 이유로 가격제한폭 확대 이전의 주가변동성이 가격제한폭 확대 이후의 주가변동성에 비해 외부충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격제한폭 확대 조치가 주가변동성의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은 KOSPI 시장과 KOSDAQ 시장 간에 서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격변동성 확대가 주식거래량 및 주가변동성의 지속성에 시장별로 상이한 영향을 미치게 된 데에는 KOSPI 시장과 KOSDAQ 시장 간에 존재하는 대체관계가 어느 정도 작용한 때문으로 추정된다. #가격제한폭 #주가수익률 가격제한폭 #주가변동성 #GARCH-M 모형 #daily stock price limits #stock returns #stock volatility #GARCH-M model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