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거래
KTB투자증권 모델이 해외주식 거래서비스 오픈을 홍보하고 있다. (사진=KTB투자증권)
KTB투자증권(대표이사 이창근)이 14일부터 해외증시 상장종목에 투자할 수 있는 해외주식 거래 서비스를 오픈했다.
KTB투자증권 빙고스마트(MTS)에서 국내주식과 함께 미국, 중국, 홍콩 증시에 상장된 종목에 투자할 수 있다.
KTB투자증권 관계자에 따르면 미국, 홍콩 주식 투자 시 원화증거금 서비스를 통해 주문 전 환전 없이 주식매매가 가능하며 미국거래소는 정규 거래시간 이전부터 거래할 수 있는 프리마켓 서비스도 함께 제공한다.
이번 해외주식 거래 서비스 오픈을 기념해 다채로운 이벤트도 준비했다. 우선 미국주식 온라인 매매수수료 0%(단, 매도시 제비용 0.00051% 고객 부담) 이벤트를 6월 30일까지 진행한다. 이벤트 기간 이후에도 1년간 0.049%로 추가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미국주식 실시간 시세 서비스 신청 시 미국거래소(NYSE/NASDAQ/AMEX)에 상장된 모든 종목의 실시간 시세를 6개월간 무료로 받아볼 수 있으며 미국, 중국, 홍콩 통화 환전 시 6개월간 80% 환율우대 혜택을 제공한다.
이벤트 대상은 KTB투자증권 빙고스마트(MTS)을 이용해 해외주식 거래서비스를 최초로 신청한 고객(단, 비대면/은행제휴 주식위탁(10)계좌 보유고객)이다.
이와 함께 타 증권사에 보유한 미국, 중국, 홍콩 주식(ETF 포함)을 KTB투자증권으로 입고 후 거래한 고객에게는 순입고 금액 및 매매조건 금액에 따라 1만원부터 최대 40만원의 현금을 지급한다.
주식 거래
본문 영역
주식거래안내
1. 시장별 매매거래 안내
구 분 | 유가증권 시장 | 코스닥 시장 | 코넥스 시장 | K-OTC 시장 | 시간외 단일가 |
---|---|---|---|---|---|
거래 시간 | 09:00 ~ 15:30 | 16:00 ~ 18:00 | |||
(호가 접수) | 08:30 ~ 15:30 (예약주문은 전영업일 13:00) | 16:00 ~ 18:00 | |||
가격제한폭 | 유가증권,코스닥 30% / 코넥스 15% / K-OTC 30% | 30% | 10% (단, 당일 상하한가이내) | ||
매매 방식 | 경쟁매매 | 단일가 경쟁매매 및 경매매 | 상대매매 (가격일치시 체결) | 임의종료방식 (Random End) | |
위탁증거금 | 40%, 100% | 100% | 30%, 40%, 100% | ||
매매거래단위 | 1주 | ||||
제세금 | 거래세 0.08% 농특세 0.15% | 거래세 0.23% | 거래세 0.10% | 거래세 0.23% 및 양도소득세 과세 | 유가증권 또는 코스닥 세금과 동일 |
동시호가 시간 | 장개시(코넥스는 없음) (08:30~09:00), 장마감(15:20~15:30) | - | - | ||
시간외 종가 | 장개시전 : 08:30 ~ 08:40 (호가접수 : 동일) 장종료후 : 15:40 ~ 16:00 (호가접수 : 15:30 ~ 16:00) | - | - | ||
주문 | 지정가, 시장가, 조건부지정가, 최유리지정가, 최우선지정가 | 지정가, 시장가 | 지정가 | 지정가 | |
기준 가격 | 전일 종가 | 전일거래가중 평균가 | 당일 종가 | ||
휴장일 | 공휴일, 토요일, 근로자의 KTB투자증권, 해외주식 거래 서비스 개시 - 데이터솜 날, 12/31(거래일이 아닌 경우, 직전의 매매거래일), , 기타 시장관리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날 |
2. 시간대별 증권시장 구분
구 분 | 장개시전 시간외매매 | 오전 동시호가 | 장중 | 오후 동시호가 | 시간외종가 | 시간외단일가 |
---|---|---|---|---|---|---|
시 간 | 08:30~08:40 | 08:30~09:00 | 09:00~15:30 | 15:20~15:30 | 15:40~16:00 | 16:00~18:00 |
내 용 | 전일 종가 가격으로 매매 | 시가 결정 | 전일 종가 대비 상하 30% | 종가 결정 | 당일 종가 가격으로 매매 | 상하 10% (당일 상하한가 이내) |
3. 위탁증거금
구 분 | 종목별 증거금률 | |
---|---|---|
40% | 100% | |
매수 | 위탁금액의 40% (위탁금액의 20%는 대용증권으로 우선 징수함) | 위탁금액의 100% |
매도 | 매도증권 전량 |
※위탁증거금률 100% 종목 : 투자위험종목, 투자경고종목, 관리종목, ELW 등
4. 반대매매 처분순서
- 1) 반대매매는 거래소나 코스닥의 장개시 동시호가를 이용
- 2) 반대매매의 순서는
- ① 미수금액을 발생시킨 종목
- ② 거래소 종목 중 최근매수종목, 동일자의 경우 종목번호 순
- ③ 코스닥 종목 중 최근매수종목, 동일자의 경우 종목번호 순
- ※ 주식매수금액 산정 기준안내
- 유가증권 등의 매수금액에는 매매수수료가 포함된 금액이니 이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 A주식 100주, 10,000원 체결시 매수금액=(100주*10,000원)+매매수수료
- HTS매매의 KTB투자증권, 해외주식 거래 서비스 개시 - 데이터솜 경우, 동 수수료로 인하여 미수금액이 발생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5. 미수연체료율 : 연 14%
6. 미수동결계좌제도 안내 (전증권사 공통)
- 1) 미수동결계좌란?
: 결제일에 결제대금을 납부하지 않아 미수가 발생한 경우 다음 매매거래일부터 30일간 매수 주문시 위탁증거금을 100% 적용받는 계좌
주식거래 하루 30조. 진화한 개미들 어떤 종목 담았나
KB국민은행 딜링룸 전경 /사진=국민은행 제공
# 30대 직장인 이모씨는 '주린이'(주식+어린이의 합성어)다. 증권사 계좌를 만들고 직접 주식 투자를 한 지 이제 2개월 남짓, 주변 친구들의 추천으로 관심을 갖게 됐다. 그는 "스포츠나 게임 이야기만 하던 친구들이 요새는 모일 때마다 주식 이야기를 한다"며 "관심이 없으면 이상한 사람이 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주식 시장의 지형도가 바뀌고 있다. 이씨 같은 사람들이 몰리면서 증시에 돈이 넘쳐나기 시작했다. 주식 거래대금은 하루에만 30조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다. 거래량도 어마어마하다. 펀드에 넣어둔 수천 만원을 환매해 직접 투자에 나선 이들, 마이너스 통장을 만들거나 신용융자를 받아 투자하는 이들도 심심찮게 보인다. 레버리지, 인버스 등 고위험군 상품에도 돈이 몰린다.
주식 시장이 각광을 받고 있는 이유는 마땅히 돈을 둘 곳이 없어서다. 코로나19(COVID-19) 사태로 인한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세계 주요국들이 너도나도 제로금리를 선언하면서 유동성이 크게 늘었지만 투자처가 좁아졌다. 기껏해야 1~2%에 불과한 은행 예·적금도, 규제가 확대되고 있는 부동산도 매력이 떨어진다.
임종철 디자인기자 / 사진=임종철 디자인기자
1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이후 전 연령대에 걸쳐 계좌 KTB투자증권, 해외주식 거래 서비스 개시 - 데이터솜 개설 수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주식에 큰 관심이 없던 젊은 층의 변화가 눈에 띈다. 시장 변동성이 크게 확대된 상황을 저점 매수의 기회로 삼으려는 개인 투자자들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신한금융투자 빅데이터센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신규 비대면계좌 수는 지난해 1분기에 비해 3.2배 증가했다. 개설 고객의 연령대는 20대가 32%, 30대가 2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과거 2년간 신규유입 고객 중 22.9%를 차지했던 20대 고객 비중이 올해 26.5%로 늘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주식거래 활동 계좌 수는 3187만2476개로 지난 5월 기준 경제활동인구(2820만명) 수를 훌쩍 넘어섰다. 언제든 주식 투자에 투입될 수 있는 대기자금은 168조원 상당이다. 투자자예탁금, 파생상품 거래예수금, 신용융자 잔고 등을 모두 더한 수치다. 이는 지난 2월 말에 비해 20조원 이상 늘었다.
일일 거래대금, 회전율도 모두 '역대급' 기록을 세우고 있다. 코스피시장과 코스닥시장을 합산한 일일 거래대금은 지난 3월부터 꾸준히 15조원 이상을 기록했다. 지난 11일에는 무려 30조4955억원이 거래되며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10조원 안팎이던 예년에 비해 거래액이 눈에 띄게 증가한 것이다. 코스피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월별 회전율도 각각 10%와 80% 이상으로 평년대비 2배 가까이 높아졌다.
임종철 디자인기자 / 사진=임종철 디자인기자
폭락장이 시작된 지난 3월부터 4월까지 개인 투자자들은 우량주 매수에 열을 올렸다.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 (55,600원 ▼400 -0.71%) 를 무려 5조3954원어치 순매수했고 현대차 (200,000원 ▼2,000 -0.99%) (1조1624억원), SK하이닉스 (90,400원 0.00%) (8715억원), 삼성SDI (571,000원 ▲17,000 +3.07%) (5708억원) 등을 사들였다.
언젠가는 오를 것이라는 막연한 믿음이 삼성전자 등 대형주 투자가 늘어난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과 반등을 시작한 2009년 삼성전자는 코스피 수익률을 크게 뛰어넘었다. 이 같은 학습 효과가 주린이들의 심리를 자극한 것이다.
이 밖에 조금 더 똑똑해진 개미들은 추가 폭락을 기대하며 증시가 하락하면 수익이 나는 인버스 상품에도 큰 돈을 투자했다. 지난 3월부터 2개월여간 'KODEX 200선물인버스2X (3,255원 ▼20 -0.61%) ' 상품에 2조원이 몰렸다. 또 코로나19 사태로 폭락한 유가의 반등을 기대하며 'KODEX WTI원유선물(H) (14,720원 ▼495 -3.25%) '에도 1조6000억원을 쏟아부었다.
폭락세가 진정된 5월부터 개인들은 성장주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NAVER (231,500원 0.00%) , 카카오 (68,000원 ▲500 +0.74%) 등 언택트(Untact·비대면) 관련주와 셀트리온헬스케어 (70,800원 ▲1,900 +2.76%) 같은 제약·바이오주 투자가 늘어났다. 개인들은 NAVER를 5384억원어치 순매수하며 삼성전자(5297억원) 보다 많은 주식을 사들였고 카카오(3449억원), 셀트리온헬스케어(2316억원) 등에도 매수세가 집중됐다.
특히 최근에는 코스닥 스몰캡(소형주) 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몇 개월 주식 시장을 경험한 개인 투자자들이 본격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내기 위해 저평가된 종목을 찾아 나선 것이다. 지난달 이후 개인들의 코스닥 시장 순매수 상위 종목에는 5G 장비주인 케이엠더블유 (35,850원 ▲2,050 +6.07%) , 카지노 업체 파라다이스 (16,050원 0.00%) 등이 포함돼 있다.
외국인과 기관에 휘둘리던 개미들의 모습은 자취를 감췄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 개인들은 주식 관련 유튜브, 서적 등을 통해 공부를 계속하고 있다. 스터디 모임도 크게 늘었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저가 우량주, 코로나19 관련주, 경기 민감주 등의 순서로 매수해 온 개인 투자자들의 모습을 보면 발전하는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주식 거래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톡(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밴드(으)로 기사보내기 텔레그램(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두나무, 증권플러스와 거래용 앱 통합
/사진=두나무 제공
증권 정보 앱 증권플러스에 거래 기능이 추가됐다. 그동안 정보 앱인 증권플러스와 거래 앱인 증권플러스 거래용으로 나눠서 운영하고 있던 두나무가 증권플러스에 거래 기능까지 통합했다.
두나무는 거래 편의성 강화를 위해 '증권플러스'와 '증권플러스 거래용' 앱을 하나로 통합, '국민 증권 원(ONE)앱'으로 거듭났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개편은 다수 증권사에 흩어져있는 주식들을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거래 할 수 있도록 투자 환경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뒀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증권플러스 거래용 앱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증권플러스 앱 하나로 총 11개 증권사의 주식 계좌를 연동해 보유 종목 확인 및 거래가 가능하다. 앱 간 이동을 해야만 했던 불편함을 없앤 것.
두나무는 모바일 주식 투자에 최적화된 증권플러스만의 깔끔한 디자인과 인터페이스, 사용성은 그대로 유지했다고 전했다. 앱 실행 후 오른쪽 상단 메뉴에서 개인이 보유한 증권사 계좌를 추가하면 보유한 종목들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거래를 원하는 종목 '주문' 버튼을 선택하면 앱 이동 없이 증권플러스 안에 연결해 둔 증권사 계좌로 바로 거래 가능하다.
두나무 관계자는 "국내주식거래 활동 계좌 수 4900만, 1인 다(多)계좌 시대를 맞아 보다 더 빠르고 편리한 투자 환경을 고민한 끝에 앱 통합을 진행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이용자 입장에서 편의를 높이기 위해 앱 고도화를 지속적으로 KTB투자증권, 해외주식 거래 서비스 개시 - 데이터솜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증권플러스'는 누적 다운로드 570만건, 누적 거래액 164조원 이상의 증권 애플리케이션이다. 투자 핵심 정보 확인과 실제 투자가 하나의 앱에서 가능해 편리한 투자 환경을 제공한다. 이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구현 및 투자 정보 확대에 초점을 맞춰 지속적으로 서비스 개편을 시행해왔다. 지난 6월에는 '주주 인증' 기능을 제공, 실제 주주들의 생생한 의견을 모아 투자에 도움이 되는 정보의 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