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L 계산하는 방법(ROE 간편 계산기): 네이버 블로그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24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그림1: 주식 선물 호가단위

선물 이익계산기

바이낸스 선물 레버리지 PNL 계산하는 방법(ROE 간편 계산기)

    본문 폰트 크기 조정 본문 폰트 크기 작게 보기 본문 폰트 크기 크게 보기 가

Register an account with Binance today

안녕하세요~ 여러분! 안정적인 투자를 지향하는 가즈야 입니다. 요즘 바이낸스에서 한글서비스 지원을 종료하면서 뜻하지 않게 영문버전 사이트를 이용하셔야 하는 불편함을 겪고 계실텐데요. 그래서 지금이 여러분들께 바이낸스에 대한 사용법과 활용팁을 알려드려야 할 가장 좋은 타이밍이라고 생각되는데요.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바이낸스 선물거래 레버리지 PNL 간편 계산 방법에 대해 포스팅을 해 보겠습니다. 포스팅을 시작하기 전에 아직 바이낸스 선물거래 수수료 할인 코드가 없거나, 새롭게 회원가입을 하셔야 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회원 가입하시고 선물거래 수수료 할인혜택 받아가시기 바래요. 안그러면 바이낸스에서 수수료 다 먹습니다!

먼저, 바이낸스 선물거래 메인화면(Binance Futures)에 접속해 보겠습니다. 보시면, 영어로 가득 차 있지만, 다행스럽게도 기존의 메뉴 구성과 크게 차이는 없는데요. 기존에 바이낸스 선물거래를 이용하시던 분들이라면, 금방 적응은 가능할 듯 싶습니다.

그럼 선물거래 PNL을 계산하기 위해 화면 우측의 주문창에 있는 계산기 아이콘을 클릭해 주겠습니다. 이 버튼이 선물거래 수수료를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는 계산기 버튼입니다. 클릭~

계산기 버튼을 누르면 위와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사실 한글로 나오면 아무것도 아닌데 영문버전으로 나오기 때문에 헷갈리실 수 있는데요. 제가 알기 쉽게 번역해 보았습니다.

- Target Price : 목표가

- Liquidation Price : 청산가

- Max Open : 최대개설

- Open Price : 진입가

PNL 사용법은 간단해요. 롱(공매수) 을 잡을지 숏(공매도)을 잡을지 선택한 다음 원하는 레버리지를 마우스를 이용해 드래그 해 줍니다. 예상되는 진입가격과 청산가격, 거래 수량을 입력하고 계산 버튼을 누르면 우측에 PNL과 ROE 가 간편하게 계산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PNL을 계산해 보았습니다. 30000USDT에 진입하고 60000USDT에 청산하는 조건으로 비트코인 1개를 구매했을 경우, 초기마진은 300USDT이며, PNL 계산하는 방법(ROE 간편 계산기): 네이버 블로그 PNL 30000USDT, ROE 10000%로 계산되는 것을 간편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같은 방법으로 목표가를 계산하거나, 청산가격 등을 확인할 수 있으니, 포지션에 진입하기 전에 계산기를 돌려보는 것도 좋은 방법 중에 하나입니다. 성급하지 않게 안정적인 투자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니까요.

이것으로 오늘 포스팅을 마치며, 바이낸스 사용법에 대해 더 알고 싶은 분들은 아래 사이트(코인픽)에 접속하셔서 좋은 정보 얻어가시기 바랍니다. 별도의 회원가입은 필요 없으며, 자유게시판을 통해 궁금하신 사항을 물어볼 수도 있으니 적극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암호화폐 길라잡이 - 코인픽

바이낸스 거래소 사용방법 A to Z 매뉴얼! 0.바이낸스 V.S 비트맥스 선물거래 비교,장단점(수수료) - 과거의 대장 비트맥스와 전세계 1위 거래소 바이낸스와 비교 분석을 하였습니다! - 편리성, UI, 어플리케이션, 수수료 그리고 거래량 등으로 장단점을 비교해 드리겠습니다~ - 각 항목의 비교 분석을 통해 유저님에게 알맞는 선물거래소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00.바이낸스 비트코인 신용카드 결제 .

선물 거래 방법 - 가격 계산 방법과 증거금, 일일정산, 만기란?

선물은 호가창이 주가 호가창과 특별히 다르지 않습니다. 때문에 호가창은 넘어가고, 선물 1계약의 가격 계산과 증거금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선물 1계약의 가격

코스피200선물을 예로 들면, 아래 그림처럼 알수없는 숫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이 숫자는 일반 주식처럼 단위가 '원'이 아닌, '포인트'라고 불립니다. 즉, 현재 코스피200선물 가격은 416.10포인트인 것입니다.

그래서 이 선물 1계약을 사려면 얼마가 필요할까요? 416.1원은 아닙니다. 가격 계산법은 코스피200선물, 주식선물, 미국달러선물 등 선물마다 계산법이 서로 다릅니다.

코스피200선물을 알아보면, 현재 가격(416.10p)에 특정 승수(25만)를 곱한 값이 최종적으로 한 계약의 가격 이 됩니다. 즉, 코스피200선물의 현재 가격이 416.10p이므로, 한 계약의 가격은

한 계약의 가격 = 416.10 * 250,000(승수) = 104,025,000원 PNL 계산하는 방법(ROE 간편 계산기): 네이버 블로그

이 승수는 선물 계약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대표적으로 몇 가지를 추려보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코스피200선물 주식선물 미국달러선물
승수 25만원 10 $10,000
호가단위 0.05p(즉, 0.05 * 25만원) 그림1에 첨부 0.1p(즉, 0.1 * $10,000)

그림1: 주식 선물 호가단위

그렇다면 한 계약을 사는데에 1억이나 내야하는건가?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지 않습니다.

선물 계약은 실제 가격을 전부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증거금을 지불하는 것으로 계약을 맺을 수 있어요. 증거금에 대한 설명은 아래 이어집니다.

증거금

많은 사람들이 초보 투자자에게 선물 거래가 위험하다고 하는데, 이 이유는 선물의 증거금제도 때문입니다. 앞서 설명한대로 코스피200선물 1계약의 가격은 약 1억원인데요, 실제로는 1계약을 매매하는데에 드는 돈은 1계약 가격 * 위탁증거금률 입니다. 현재 코스피200선물 위탁증거금률은 13.95% 인데, 그렇다면 지금 코스피200선물 1계약의 매매 시 실제 지불 가격은

한 계약의 실제 지불 가격 = 104,025,000 * 0.1395 = 14,511,487원

이 됩니다. 레버리지가 약 7.1배로 매우 높아지는 것이죠. 부동산으로 치자면, 10억짜리 집을 사는데 1억 4500만원만 가져가면 되는겁니다.

레버리지가 큰 만큼 그에 따른 수익 역시 굉장히 높습니다. 예를 들어 지금 코스피200선물 가격이 1% 상승해 416.1p → 420.2p가 됐다고 해 보죠. 선물 가격이 4.1p가 올랐기 때문에, 수익은 4.1p * 250,000 = 1,025,000원 입니다.

1계약 투자 금액이 1450만원 정도이므로, 수익은 7.06%가 됩니다. 코스피200이 1%만 올라도 7%의 수익 을 낼 수 있는거죠. 하지만, 이는 손실이 날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코스피200이 1%만 떨어져도 7%의 손실 이 발생하는거죠.

이처럼 레버리지가 매우 높기 때문에, 상품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초보 투자자에게 특히 위험한 겁니다.

일일정산제도

선물 계약이 위험한 이유가 한가지 더 있습니다. 바로 '일일정산제도'입니다.

그날 그날 선물 가격이 변동됨에 따라, 내가 보유하고있는 선물 계약의 가치가 달라지죠. 예를 들어, 첫 계약때 선물이 100p이었는데, 한달 후 선물이 200p가 된다면, 매수포지션에 있던 사람은 큰 수익을, 매도포지션에 있던 사람은 큰 손해를 보게 됩니다.

때문에 매도포지션에 있던 사람이 계약을 이행하지 않을 수가 있기때문에, 선물은 매일 매일의 손익을 계산해 해당하는 금액 만큼을 매수/매도자에게서 수금/지급 합니다. 즉, 선물 포지션을 청산하지 않더라도, 매일 매일 내가 수익을 본 금액만큼이 내 계좌로 들어오는것이죠.

이를 일일정산이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일일정산을 하다보면, 어느 순간 증거금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발생할것입니다. 코스피200선물의 경우, 포지션 가치의 10% 미만으로 증거금이 내려간다면, 추가증거금을 요청 합니다.

만약 투자자가 추가증거금을 납부하지 않는다면, 거래소에선 강제 청산을 하게되는데, 이를 마진콜 이라고 부릅니다.

얼마 전 빌 황의 마진콜 사태 역시 주식선물 거래 중 추가증거금 납부 실패로 일어진 강제 청산 사태입니다.

선물 만기

선물 계약의 특징 중 하나는 '만기'입니다. 선물이라는 단어 뜻 자체에서 나타내듯이, 선물은 미리 정해진 시점에 매수/매도자가 인수도를 하기로 한 계약입니다. 따라서, 주식처럼 회사가 망할때까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시점에 계약을 이행하고 선물 계약이 사라지는 것 입니다.

선물 계약은 보통 아래와 같은 이름을 가집니다.

코스피200 F 202109

이는 코스피200 선물(F) 중 만기가 2021년 9월인 선물이라는 PNL 계산하는 방법(ROE 간편 계산기): 네이버 블로그 뜻 입니다. 적혀있는 2021년 9월이 되면, 해당 선물 계약은 강제 청산됩니다. 때문에, 선물 계약을 거래할땐 내가 계약하는 선물의 만기가 얼마나 많이 남았는지를 꼭 확인해야합니다.

그렇다면 원유, 가스 등 원자재의 선물 계약을 할때 마지막까지 청산하지 않으면 진짜 현물 인도를 해야하는가? 라는 궁금증이 생깁니다. 네 만기일까지 청산하지 않는다면, 진짜 현물을 가져와야합니다. 평생 쓸 기름을 미리 구비해두세요.

하지만, 선물 투자자 중 현물 인수도를 하고싶은 투자자는 아무도 없기때문에, 이러한 상품들에 대해선 증권사에서 자체적으로 만기 하루 전날 직접 반대매매를 수행 해줍니다. 그러니 평생 쓸 기름을 미리 구하기는 쉽지 않을겁니다.

참고로, 한국 선물의 만기일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3,6,9,12월의 두번째 목요일입니다.

이렇게 선물의 아주 기본적인 부분만을 간단하게 정리해보았는데요, 선물의 경우 이처럼 알아야 할 내용도 많고 리스크도 매우 높기때문에, 선물을 하고싶다면 모의투자를 통해 먼저 하는 방법에 대해 경험을 많이 해보셔야 합니다 . 꼭.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