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증권사 순이익 18%↑…IB·자산관리 등 수익 다각화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지난해 수수료 수익 감소에도 투자은행(IB) 부문 확대 등에 힘입어 증권사의 순이익이 18%가량 증가했다.
1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9년 증권·선물회사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증권사 56곳의 당기순이익은 4조9천104억원으로 전년보다 17.8% 늘었다.
수수료 수익은 9조4천902억원으로 전년보다 2.3% 줄었다.
이 중 수탁수수료 비중은 2018년 46.8%에서 2019년 36.5%로 감소했다. 10년 전인 2009년 69.2%에 이른 수탁수수료 비중은 꾸준히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반면 1년 새 IB 부문 수수료 비중은 27.4%에서 36.0%로, 자산관리 부문 수수료 비중은 10.4%에서 11.1%로 각각 증가했다.
금감원은 "작년 증권사 당기순이익은 주식거래대금 감소에도 IB 부문 확대 및 금리 인하 기조 등으로 증가했다"며 "수수료 수익 중 수탁수수료 비중은 계속 감소하고 IB, 자산관리 등으로 수익이 다각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증권사의 자기매매이익은 3조6천796억원으로 전년보다 18.5% 감소했다.
주식 관련 이익이 5천295억원으로 흑자 전환하고 채권 관련 이익도 6조7천480억원으로 9.1% 증가했다. 그러나 파생 관련 손실이 3조5천979억원으로 전년 대비 손실 규모가 1조9천456억원 늘었다.
파생결합증권(ELS) 등의 발행액과 상환액이 증가하면서 관련 손실이 커졌다고 금감원은 전했다.
증권사의 기타자산수익은 4조912억원으로 149.8% 증가했다. 외환, 펀드, 대출 관련 수익이 각각 320.0%, 246.7%, 8.5% 늘었다.
판매관리비는 8조9천160억원으로 6.4% 증가했다.
지난해 증권사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8.3%로 0.6%포인트 상승했다.
작년 말 기준 증권사 자산총액은 482조6천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10.0% 증가했다. 부채와 자기자본은 각각 420조8천억원, 61조8천억원으로 10.1%, 9.2% 늘었다.
순자본비율은 평균 559.1%로 11.6%포인트 올랐고 레버리지 비율은 680.1%로 2.0%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선물회사 5곳의 순이익은 261억원으로 전년보다 12.2% 늘었다. ROE는 6.5%로 0.3%포인트 하락했다.
선물회사의 지난해 말 기준 자산총액은 3조1천581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31.5% 줄었다. 부채는 2조7천249억원으로 35.7% 감소하고 자기자본은 4천332억원으로 15.4% 증가했다.
사업 다각화 나서는 부동산자산운용사
부동산 자산운용사들이 업무 영역을 확대하거나 아예 다른 분야로까지 눈길을 돌리고 있다. 신생 부동산 자산운용사들이 잇따라 등장하면서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져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기 위한 노력으로 풀이된다.
24일 부동산금융 업계에 따르면 부동산펀드 설정금액 기준 시장점유율 1위인 ‘이지스자산운용’은 올해 들어 ‘특별자산투자본부’와 ‘부실채권(NPL)운영본부’ 등 2개의 사업본부와 개인투자팀을 신설하고 분야별 전문가를 영입했다.
특별자산투자본부는 에너지부터 도로·항만·공연·영화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부서이며 NPL은 부실 채권 시장에 투자하는 부서다. 또 개인투자팀은 연내 공모형 부동산 펀드를 내놓을 계획이다. 이지스 관계자는 이에 대해 “업무영역 확대와 다각화를 위한 조직 개편”이라고 설명했다.
업계 3위인 하나자산운용도 올해 들어 신규 조직을 18%↑…IB·자산관리 등 수익 다각화 | 연합뉴스 대폭 확대했다. ‘에너지인프라투자본부’를 신설했으며 ‘NPL투자실’도 만들었다. 하나자산운용 관계자는 “풍력·수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구조조정으로 앞으로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NPL에서 새로운 투자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 선두권을 달리는 업체들의 이 같은 변화는 다른 운용사에도 자극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 운용사 고위관계자는 “자금 모집과 투자 대상 확보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고 전세계적으로 부동산 자산 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도 계속 나오고 있다”며 “다른 경쟁사들의 조직 변화를 보면서 신규 조직 신설에 관한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부동산 자산운용 시장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다음달부터는 증권사들의 사모펀드 겸영이 가능해진다. 신규 자산운용사 설립도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부동산 자산운용사들의 고민이 깊어지는 가운데 아직 성숙되지 않은 공모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부동산펀드 설정원본 기준 공모펀드 규모는 9,410억원으로 전체 부동산 펀드(37조9,407억원)의 2.48%에 불과하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들어 투자자들이 큰 수익을 얻는 것보다는 꾸준한 수익을 보장하는 장기 투자 상품에 관심을 갖고 있다”며 “공모펀드는 이러한 투자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상품”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 “북한 방사포 발사, 한국 공격 의지 보여줘…타격 수단 다각화 진전”
북한 군이 4주 만에 방사포 발사를 재개한 것은 한국을 실제로 타격하겠다는 의지와 능력을 과시한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진단했습니다.
[녹취: 이언 윌리엄스 부국장] “It’s clear they are not just trying to get attention, in my opinion. They’re trying to build up real military capability… They are clearly being designed and fielded to target and saturate military targets in South Korea.”
이언 윌리엄스 전략국제문제연구소 CSIS 미사일 방어 프로젝트 부국장은 “북한이 단지 관심을 바라는 게 아니라 분명히 군사 역량을 쌓기 위해 방사포를 쐈고, 이는 명백히 한국의 군사 시설을 겨냥해 집중포화를 퍼붓기 위해 고안되고 배치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방사포 외에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올해만 17차례 발사한 점을 들어, 북한이 한국 중부 지역에 대한 ‘다층적 타격’ 훈련을 하는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녹취: 이언 윌리엄스 부국장] “I think they’re developing a layered strike doctrine. The have the traditional tube artillery in strategic places around the border, particularly around Seoul. They have longer-range missiles that could target US forces in the region.”
“군사분계선 주변에서 전통적인 박격포식 포대가 서울과 수도권을 겨누고, 사거리가 조금 더 긴 미사일로 수도권 남쪽의 주한미군을 겨냥한다”는 것입니다.
윌리엄스 부국장은 또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도 중·단거리 방사포 공격을 선호한다며, “최근 포격의 정확도와 파괴력이 강해져 전장에서 우세한 무기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이언 윌리엄스 부국장] “Artillery is becoming very precise to the extent that they are showing to be very dominant on a battlefield. We’ve seen the improvement and accuracy in North Korean missiles writ large. The movement from SCUD based missiles which are very inaccurate, to solid fuels like KN-24 and 25, these have shown to be more accurate than past generations.”
게다가 “18%↑…IB·자산관리 등 수익 다각화 | 연합뉴스 북한이 개발한 미사일의 정확도 개선 속도가 뚜렷하다”며, “과거 자주 빗나갔던 스커드 기반 미사일과 달리 고체연료를 쓰는 KN-24와 초대형 방사포인 KN-25는 전 세대 무기보다 훨씬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데이비드 맥스웰 민주주의수호재단(FDA) 선임연구원 역시 이번 발사는 실제 훈련의 성격이 있어 보인다며, “북한이 군사 영역 전반에 걸쳐 역량을 늘리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데이비드 맥스웰 민주주의수호재단 연구위원] “They are also advancing military capabilities across the spectrum. We focus on their nuclear and ICBM capabilities but they have been developing KN-23 and 24.”
국제사회가 “북한의 핵과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능력에 집중하는 사이 북한은 단거리 탄도미사일인 KN-23과 24 기술을 발전시켜 왔다”는 것입니다.
군사전문가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북한의 최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방사포에는 타격 정확도를 높여주는 유도 시스템 기술도 들어갔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녹취: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 “The appearance is that KN 24 and 25 probably do have some form of guidance system that allows them to fly several hundred kilometers and then hit an island.”
“외형상 KN-24와 25는 어떤 형태로든 유도 장치를 탑재한 것으로 보이며, 수백 km를 날아가 바다 위의 섬을 타격할 정도의 정확도를 갖고 있다”는 겁니다.
베넷 연구원은 정확도뿐만 아니라 방사포에 어떤 무기를 추가로 탑재할 수 있느냐에 따라 살상 능력이 향상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북한군이 최근 러시아에서 화학 무기 탑재가 가능한 방사포를 들여온 정황이 있다며, 이는 우려스럽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 “It may not just be an issue of accuracy. That kind of launcher may well have significant chemical weapons capability because they went and purchased those rockets.”
만약 러시아에서 도입한 방사포가 화학 무기 탑재 능력을 갖췄다면, 타격의 정확도만이 문제가 아니라는 겁니다.
맥스웰 연구원은 진전된 북한군 포대의 화력에 대응하려면 미군의 전략 자산을 동원할 뿐 아니라 연합훈련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데이비드 맥스웰 민주주의수호재단 연구위원] We do that by conducting exercises. We do that by deploying assets periodically as we’ve done strategic assets to Guam, F-35 to Okinawa, carrier battle group to East Sea, and F-35 to South Korea. All of these are indications of our commitment to the alliance, deterrence and defense of South Korea.
한국과 일본 오키나와에 미군 F-35 전투기를 배치하고, 동해에 항모 전단을 보낸 것처럼, 미한 동맹에 균열이 없다는 것을 북한에 계속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설명입니다.
자산 다각화
베트남 건설대기업 코테콘은 토목사업 및 건설업계 경쟁 격화와 이에 따른 채산성 악화로 에너지 및 자산관리 영역으로 사업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사진=tranducphu.com)
[인사이드비나=호치민, 응웬 늇(Nguyen nhut) 기자] 베트남 건설대기업 코테콘(Coteccons)은 토목사업 및 건설업계 경쟁 격화와 이에 따른 채산성 악화로 에너지 및 자산관리 영역으로 사업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볼랏 두이세노프(Bolat Duisenov) 코테콘 회장은 지난 26일 열린 정기주총에서 "토목 및 산업건설에 너무 의존하고 있어 부동산시장의 요동에 크게 좌우된다”며 “꾸준한 성장성 확보를 위해서는 사업다각화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실제 코테콘의 토목 및 산업건설 비중은 매출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이날 판 유이 허우 꾸옥(Phan Duy Huu Quoc) 부회장도 단일사업 의존과 그에 따른 위험성을 지적하며 “토목 및 산업건설 분문의 경쟁이 격화돼 마진률이 3~5%까지 떨어졌다”며 “이런 식으로 사업이 계속되면 업계의 연쇄 부도는 피할 수 없는 수순”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그는 “위험을 분산하고 마진율을 높이기 위해 18%↑…IB·자산관리 등 수익 다각화 | 연합뉴스 토목 및 산업건설 이외의 영역으로 진출하는 것은 절실한 요구”라며 “앞으로 에너지 및 자산관리 분야에서 고객들과 만나게 될 것”이라며 사업다각화 추진 의지를 확실히 했다.
코테콘의 올해 매출 및 세후이익 목표는 작년보다 각각 20%, 2% 증가한 17조4000억동(7억5500만달러), 3400억동(1480만달러)이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