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경제일정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13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지난주 증시는 낙폭과대에 따른 저가매수 물량의 영향으로 2500선 회복을 시도했다. 이번주 증시는 잭슨홀 미팅 결과 소화, 미국 중간선거와 중국 전당대회 등을 대비한 양국의 정책 모멘텀을 경계하며 불확실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8월22일~8월26일) 코스피는 전주 대비 0.47% 내린 2481.03으로 거래를 마쳤다.

지난 한 주간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은 각각 6138억원을 순매수했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21억원, 1223억원을 순매도했다. 기타법인 또한 4972억원을 순매도했다.

공매도 거래대금은 코스피 시장과 코스닥 시장이 각각 1조6340억원(일평균 5446억원), 5330억원(일평균 1066억원)으로 집계됐다. 개인 비중은 각각 3.0%, 2.09%를 차지했다.

이번 주 증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잭슨홀 이후 매파적 태도를 상당 기간 유지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외국인 순매수 유입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병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기술적 반등의 원인은 인플레이션 정점 가능성과 Fed 긴축완화에 대한 기대였다”라며 “그러나 미국 물가는 인플레이션 정점에 주간경제일정 대한 확신을 가지기엔 천천히 하락할 가능성 높다”고 진단했다.

그는 “Fed는 매파적 태도를 상당 기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며 “금리인상이 실물 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뒤늦게 나타나기 때문에 기준금리 과대 상승 가능성 높은 가운데 이 경우 순환적 경기 둔화 및 침체 구간인 역실적 장세가 도래할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말했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9월부터 주요 경제지표와 정치 이벤트가 연이어 진행될 예정이다”라며 “FOMC 내 매파 진영의 수장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준 총재의 경고와 유럽 천연가스의 고공행진은 강달러와 고금리를 재차 이끌 수 있는 촉매임을 부정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덱스 상방은 최소로 제한되며 금리 민감도가 높은 고PER 종목들은 당분간 더 부침을 겪을 확률이 높다고 봐야하겠다”며 “적어도 쾌도난마 형태의 안도 랠리를 당분간 기대해선 안 될 것이다”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일련의 이벤트 결과가 시장 친화적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는 진단이다.

김 연구원은 “미국은 중간선거를 앞두고 중국과의 패권 전쟁을 화두로 설정하며 반도체와 과학법(Chip4)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을 발표했다”며 “미국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을 통해 직접적으로 수주를 늘리는 기업, 미국 내 생산시설을 공격적으로 확장해 온 기업, 중국 경쟁사 견제로 반사수혜가 가능한 기업, 원가 상승에도 가격 전가가 가능한 기업 등은 수혜 예상된다”고 말했다.

서 연구원 또한 “최근 기대 인플레이션이 안정화되고 있는 점, 금리선물시장이 내년 초 긴축 중단 가능성을 반영해 두고 있는 점, 그리고 경기민감도가 높은 국내 증시에 최근 외국인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재료와 모멘텀이 있는 업종과 종목이라면 충분히 기운을 낼 수 있는 여건이 된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삼성증권은 외국인 유입 강도가 두드러지는 업종으로 자동차 및 부품, 2차전지 및 관련 소재, 조선, 기계, 건설 업종 등을 꼽았다.

경제캘린더

중국 7월 CPI 상승, 봉쇄조치 영향으로 예상치는 하회

By Ambar Warrick Investing.com – 수요일(10일) 발표된 7월 중국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는 예상치를 하회했다. 세계 .

[속보] 7월 취업자 82.6만명 증가…실업률 2.9% 역대 최저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취업자 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82.6만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실업률은 2.9%로 7월 기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10일.

중국 6월 서비스 활동, 근 1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상승

By Zhang Mengying Investing.com – 주간경제일정 중국 6월 서비스 활동은 코로나19 관련 봉쇄조치가 완화되고 수요가 되살아나면서 근 1년 .

4월 취업자, 22년 만에 최대 폭 증가…86만5000명 늘어

사진=아이클릭아트 [인포스탁데일리=이연우 선임기자] 4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80만 명 넘게 늘면서 같은 달 기준으로 22년 만에 최대 주간경제일정 폭으로 늘었다. 통계.

[속보] 4월 취업자 86만명 증가…대부분 60대 이상

4월 취업자 수가 86만명 증가했다. 올들어 4개월째 80만명 이상의 취업자 수 증가세를 이어갔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4월 고용동향&rsqu.

면책조항: 끊임없이 변하는 금융시장의 특성으로 인해 경제 이벤트 및 지표는 지속적으로 변경됩니다. 당사에서 경제캘린더를 제공해 드리기는 하지만, 당사가 통제할 수 없는 외부 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본 경제캘린더를 사용한 결과로서 발생한 거래 손실 또는 기타 손실에 대해 당사는 어떠한 책임도 질 수 없다는 점을 알려 드립니다.

코스피지수2,426.89-54.14-2.18%
코스피200 선물 (F)315.70-8.80-2.71%
US 5004,027.1-30.6-0.75%
US Tech 10012,488.0-117.2-0.93%
DAX12,898.57-72.90-0.56%
닛케이27,878.96-762.42-2.66%
미국 달러 지수108.790+0.039+0.04%
1,753.00+3.20+0.18%
18.652-0.094-0.50%
브렌트유101.46+2.45+2.47%
WTI유95.62+2.56+2.75%
천연가스9.412+0.143+1.54%
구리3.6128-0.0842-2.28%
미국 옥수수680.62+16.62+2.50%
달러/원1,350.19+8.01+0.60%
유로/달러0.9989+0.0028+0.28%
브라질 헤알/원267.83+3.09+1.17%
엔/원9.7393-0.0158-0.16%
파운드/달러1.1704-0.0043-0.37%
태국 바트/원37.134+0.077+0.21%
달러/엔138.63+1.11+0.80%
애플160.32-3.30-2.02%
알리바바 ADR98.32+0.32+0.33%
트위터40.32-0.14-0.35%
알코아55.73-0.11-0.20%
뱅크오브아메리카33.76-0.27-0.79%
코카콜라62.63-0.47-0.75%
엑슨모빌100.85+2.98+3.04%

다운로드 App store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주간경제일정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한국은행(The bank of Korea)

2019.Q3분기 전기대비증감률(%):0.5, 2019.Q4분기 전기대비증감률(%):1.3, 2020.Q1분기 주간경제일정 전기대비증감률(%):-1.3, 2020.Q2분기 전기대비증감률(%):-3.0, 2020.Q3분기 전기대비증감률(%):2.3, 2020.Q4분기 전기대비증감률(%):1.2, 2021.Q1분기 전기대비증감률(%):1.7, 2021.Q2분기 전기대비증감률(%):0.8, 2021.Q3분기 전기대비증감률(%):0.2, 2021.Q4분기 전기대비증감률(%):1.3, 2022.Q1분기 전기대비증감률(%):0.6, 2022.Q2분기 전기대비증감률(%):0.7

2019.Q3분기 전년동기대비증감률(%):2.1, 2019.Q4분기 전년동기대비증감률(%):2.6, 2020.Q1분기 전년동기대비증감률(%):1.5, 2020.Q2분기 전년동기대비증감률(%):-2.5, 2020.Q3분기 전년동기대비증감률(%):-0.9, 2020.Q4분기 전년동기대비증감률(%):-0.9, 2021.Q1분기 전년동기대비증감률(%):2.2, 2021.Q2분기 전년동기대비증감률(%):6.2, 2021.Q3분기 전년동기대비증감률(%):4.0, 2021.Q4분기 전년동기대비증감률(%):4.2, 2022.Q1분기 전년동기대비증감률(%):3.0, 2022.Q2분기 전년동기대비증감률(%):2.9

소비자물가지수 2022.07

소비자물가지수

2021년07월 소비자물가지수:102.주간경제일정 26, 2021년08월 소비자물가지수:102.75, 2021년09월 소비자물가지수:103.17, 2021년10월 소비자물가지수:103.35, 2021년11월 소비자물가지수:103.87, 2021년12월 소비자물가지수:104.04, 2022년01월 소비자물가지수:104.69, 2022년02월 소비자물가지수:105.30, 2022년03월 소비자물가지수:106.06, 2022년04월 소비자물가지수:106.85, 2022년05월 소비자물가지수:107.56, 2022년06월 소비자물가지수:108.22, 2022년07월 소비자물가지수:108.74

2021년07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2.6, 2021년08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2.6, 2021년09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2.4, 2021년10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3.2, 2021년11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3.8, 2021년12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3.7, 2022년01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3.6, 2022년02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3.7, 주간경제일정 2022년03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4.1, 2022년04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4.8, 2022년05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5.4, 2022년06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6.0, 2022년07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6.3

생산자물가지수 2022.07

생산자물가지수

2021년07월 생산자물가지수:110.28, 2021년08월 생산자물가지수:110.86, 2021년09월 생산자물가지수:111.27, 2021년10월 생산자물가지수:112.43, 2021년11월 생산자물가지수:113.23, 2021년12월 생산자물가지수:113.21, 2022년01월 생산자물가지수:114.40, 2022년02월 생산자물가지수:114.95, 2022년03월 생산자물가지수:116.70, 2022년04월 생산자물가지수:118.59, 2022년05월 생산자물가지수:119.43, 2022년06월 생산자물가지수:120.10, 2022년07월 생산자물가지수:120.47

2021년07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7.4, 2021년08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7.4, 2021년09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7.6, 2021년10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9.1, 2021년11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9.8, 2021년12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9.0, 2022년01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8.9, 2022년02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8.5, 2022년03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9.0, 2022년04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9.7, 2022년05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9.9, 2022년06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10.0, 2022년07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9.2

경상수지 2022.06

2021년06월 경상수지:8,831백만달러, 2021년07월 경상수지:7,707백만달러, 2021년08월 경상수지:7,440백만달러, 2021년09월 경상수지:10,506백만달러, 2021년10월 경상수지:8,010백만달러, 2021년11월 경상수지:6,821백만달러, 2021년12월 경상수지:6,062백만달러, 2022년01월 경상수지:1,916백만달러, 2022년02월 경상수지:6,419백만달러, 2022년03월 경상수지:7,058백만달러, 2022년04월 경상수지:-79백만달러, 2022년05월 경상수지:3,860백만달러, 2022년06월 경상수지:5,610백만달러

M2(평잔) 2022.06

2021년06월 M2(평잔):3,414조원, 2021년07월 M2(평잔):3,445조원, 2021년08월 M2(평잔):3,488조원, 2021년09월 M2(평잔):3,514조원, 2021년10월 M2(평잔):3,543조원, 2021년11월 M2(평잔):3,595조원, 2021년12월 M2(평잔):3,620조원, 2022년01월 M2(평잔):3,634조원, 2022년02월 M2(평잔):3,656조원, 2022년03월 M2(평잔):3,672조원, 2022년04월 M2(평잔):3,676조원, 2022년05월 M2(평잔):3,694조원, 2022년06월 M2(평잔):3,714조원

2021년06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10.9, 2021년07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11.4, 2021년08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12.5, 2021년09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12.8, 2021년10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12.4, 2021년11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12.9, 2021년12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13.2, 2022년01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12.7, 2022년02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11.8, 2022년03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10.8, 2022년04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9.4, 2022년05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9.3, 2022년06월 전년동월대비증감률(%):8.8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