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현물시장과 선물시장에 국한되어 있는 국내의 차익기회연구를 확장하여 KOSPI200 현물바스켓을 활용한 차익거래의 수익성과 KODEX200 상장지수펀드(ETF)를 활용한 차익거래의 수익성을 사후 및 사전적 측면에서 분석․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우선 일반적으로 거래비용이 증가하면, 매도차익 또는 매수차익기회가 감소하고 있다. 또한 매도차익기회의 발생빈도가 매수차익기회의 발생빈도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상대적으로 KOSPI200 현물바스켓을 활용한 차익거래보다 KODEX200 ETF를 활용한 차익거래에서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실제 선물가격이 일관되게 이론선물가격보다 낮게 평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사후적 차익분석결과는 거래비용 0.20%∼1.00% 하에서 KOSPI200 현물바스켓과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KODEX200 ETF를 활용한 차익거래 모두에서 이익이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매도차익거래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KOSPI200 현물바스켓을 활용할 경우 차익거래기회는 평균적으로 4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많으며, KODEX200 ETF를 활용할 경우에 그 시간은 평균적으로 7분 이상 더욱 길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이들 시장이 완전히 효율적이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익기회의 신호가 발생한 이후 5분간의 차익실행 지연시차를 고려한 사전적 차익거래의 분석결과는 매도차익거래에서 KODEX200 ETF의 활용한 차익거래가 KOSPI200 현물바스켓보다 더 높은 무위험차익을 수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ODEX200 ETF와 KOSPI200 선물 간의 가격결정이 보다 효율적이지 않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compare the arbitrage profitability between KOSPI200 futures and the spot index and between KOSPI200 futures and KODEX200 ETF. Analysis data is used by the minute-by-minute price series of the KOSPI200 spot index, KOSPI200futures, and KODEX200 from May, 19, 2011 to November. 9, 2011.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general the higher the transaction costs increase, the more opportunities of short and long arbitrage transaction decrease. Also, KODEX200 ETF has more short arbitrage opportunities than long arbitrage opportunities at all levels of transaction costs relative to KOSPI200 cash index. This implies that the theoretical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fair price is greater than the actual futures price. Moreover, the ex-post test shows that arbitrage transactions have profit in KOSPI200 spot basket and KODEX200 ETF at all levels of transaction costs ranging from 0.20 to 1.00%. Finally, the ex-ante test assuming a 5-min transaction lag shows that short arbitrage using KODEX200 seems to provid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ore profits over KOSPI200 spot program trading under transaction costs ranging from 0.20 to 0.50%. This may imply that pricing between KODEX200 ETF and KOSPI200 futures is less efficient.
지수 거래
■ 코스피 200 지수 선물 개념 및 의의
ㅇ 코스피200 지수 선물
- 코스피 200 지수를 대상으로 하는 선물상품으로서, ’96.5월 상장된 국내 최초의 장내파생상품
■ 코스피 200 지수 선물 지표 의의 및 활용도
ㅇ 동 통계 는 국내 장내선물시장의 대표 상품인 코스피 200 지수 선물의 거래규모와 관련된 통계임
- 일평균 계약수 및 일평균 계약금액은 선물 거래규모 및 거래추이를 파악하는데 이용
* 계약금액은 명목거래금액으로 실제 거래대금을 수수하는 주식시장(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과 차이가 있어,
거래규모의 단순 비교는 곤란함
- 국가채권추이 의미분석 : e-나라지표
ㅇ 코스피200선물거래 추이
- 상장 후 거래가 꾸준히 증가하다가 ’01년부터 주식시장의 변동성 상승 및 개인 투자자의 적극적인 시장 참여로 11년까지 거래규모가 증가하였으나 '12년 이후 예탁금규제 강화 등으로 감소세
- 20 08년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로 변동성이 확대되어 거래량 견조한 증가세
- 2011년 : 계약건수 347,436건으로 전년 2010년 대비 120,370(53%)건 증가
- 2012년 : 하반기들어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는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임
- 2013년 : 일평균계약수가 점차 하락하다가 10월에 반등하여 상승하는 추세이며, 일평균계약금액에는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않음
- 2014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이 1월부터 7월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8월에 반등하여 10월에 고점을 찍고 다시 하향
- 2015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의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않음
- 2016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이 1월부터 5월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6월에 반등한 후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않음
- 2017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의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않음
- 2018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의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않음
- 2019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의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않음
- 2020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의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않음
- 2021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의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않음
- '19.5월 발표한 「혁신성장과 실물경제 지원을 위한 파생상품시장 발전방안」 등을 지속 추진하여 파생상품 시장을 활성화해 나갈 계획
지수 거래
CAC40(FRA40) 유로넥스트/ 파리의 상장상품 중에서도 거래총액이 높은 것이나 시가총액이 큰 대표적업종에 속하는 40개의 상품으로 구성된 조절시가총액가중평균지수를 CAC40(FRA40)지수라고 합니다.
DAX(GER30) DAX지수(닥스지수)는 일본어로는「독일주가지수」라고 불리며 독일증권거래소가 운영하는 프랑크프루트증권거래소의 상장상품 중, 독일기업의 우량30상품을 대상으로한 부동산조절시가총액가중형의 주식지수를 말합니다.
FTSE 100 (UK100) FTSE 100 (UK100)란 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의 약자로 런던증권거래소의 상장하는 제일 시가총액이 높은 상위 100상품으로 구성된 주가지수입니다. 1984년에 시작된 이 지수는 런선 증권거래소가 소유하는 영국의 주가지수 및 관련되는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인 FTSE 그룹에 의해 관리, 산출되고 있습니다.
NASDAQ (US100) 세계에서 2번째로 큰 주식거래소(뉴욕 증권거래소에 이어)의 NASDAQ증권거래소의 NASDAQ총합지수로서, 그 산하에 있는NASDAQ 100 (US100)이란 나스닥증권거래소에 상장하고 있는 제일 우량한 107개의 비금융회사에의해 발행하고 있는 107개의 주식으로 구성되어있는 주식지수입니다.
US30 (DJ30) US30(DJ30는 미국에 있는 세계의 주목도가 높은 주식지수입니다. 도우 죤즈가 미국의 대포적인 상품을 골라 그 평균주가를 지수로 하는 평균형의 주식지수입니다. 일본에서는 뉴요커평균주가나 도우 죤즈 공업평균주가라는 상품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US500 (S&P500) US500(S&P500)은 미국을 대표하는 주식지수입니다. S&P500라고도 불리며 미국의 스텐더드& 푸어즈사가 선출하고 있는 것으로 이니셜을 따 S&P라고 불립니다. 미국의 대표하는 주식지수 중 하나입니다.
ASX200 (AUS200) 오스트레일리아에 상장하는 기업 중, 시가총액상위200위로 구성하고있는 상품입니다. 산출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시가총액가중평균형주식지수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지수는 도우 죤즈 인덱스가 내고있습니다.
Euro50 (EUSTX50) Euro50은 유로권내의 오스트리아, 벨기에, 핀란드, 네덜렌드, 포르투갈, 스페인, 룩셈부르크, 이탈리아, 아일랜드, 독일, 프랑스의 11개의 주식시장에서 선택한 50개의 우량상품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Hang Seng50 (HK50) 한셍 지수 서비스가 산출하고있는 홍콩의 주식지수 중 하나입니다. 중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증권거래소에서 판매하고있는 상품중 시가총액이 높은 50기업을 선택한 구성입니다. 홍콩주식시장에 있어 중요한 지표중 하나입니다만 홍콩주식시장의시가총액의 7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실시간 지수 선물
주식 선물 표는 전세계 지수 선물의 실시간 스트리밍 CFDs 시세를 보여준다. 호가는 세계 톱 31 주가 지수에 대해 이용가능하다. 이표에서 각 선물 계약의 일일 최고가, 최저가, 변동 뿐만 아니라 최근 가격도 알 수있습니다. "기준"은 16:30 ET에 각 선물 계약이 종료된 가격입니다; 변동은 "기준"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실시간 스트리밍 선물 시세(CFD)
미국 선물시장 시세
EUREX 선물시장 시세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