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주문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24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시간외거래장까지 끝나면, 미체결상태로 남아있었던 모든 주문들은 일괄 취소됩니다.

[부모탐구생활] 아이 주식계좌 열긴 했는데…거래시간이 뭐죠?

이전 갑작스런 사망에도 분쟁 없었다, 마이클 잭슨의 상속 비결 [부모탐구생활]

다음 [부모탐구생활] 계란을 한 바구니에? 하루아침에 거지 됩니다

이웃집 아이는 주식 투자를 한다는데, 우리집 경제교육은 “아빠 피곤하니까, 내일 설명해줄게”에 머물러있다고요? 건강한 부(富)의 사다리를 만들어주는 첫걸음. 부모가 먼저 읽고 아이들에게 전해주는 부모탐구생활로 시작해보세요. 부모를 위한 뉴스, 중앙일보 헬로!페어런츠가 전해드립니다. 이번엔 알쏭달쏭 주식 거래시간에 대한 이야기를 들고 왔습니다.

#30대 중반 직장인 김초보 과장. 최근 자녀 계좌를 개설하고 국내 대표 기업들을 조금씩 매수하며 주식에 흥미를 붙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중요한 업무 미팅 중에 보유하고 있던 종목이 급락하는 것을 발견했다. 회의를 마친 후 허겁지겁 주문을 넣어보았으나 입력이 되지 않았다. 아뿔싸. 주식 거래 시간이 지나버린 것이다.

주식 거래 시간이 뭐야?

부모탐구생활. getty images bank

부모탐구생활. getty images bank

주식 거래를 처음 하는 분들은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게 생소하죠. 김초보 과장님처럼 궁금증을 가지고 계신 분들을 위해 주식 거래시간과 시간대별 특징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주식은 가상화폐와 달리 정해진 시간에만 거래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직장인이 출근을 하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주식거래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주식 거래를 하다 보면 거래가 실시간으로 체결되지 않고 가격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각 거래시간의 특징과 체결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주식 거래시간은 크게 ▷정규시간▷ 동시호가▷시간 외 종가▷시간 외 단일가로 구성됩니다. 어디 한 번 들여다볼까요?

①정규시간(09:00 ~ 15:30)

대부분의 주식거래가 이뤄지는 정규장은 오전 9시에 개장해 오후 3시 30분에 폐장합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을 거래한다고 할 때가 바로 정규시간에서 거래를 하는 것인데요, 보통 정규시간 개장 직후 1시간과 폐장 직전 1시간에 주가의 변동성이 높게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식거래 시간.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주식거래 시간. 그래픽=김현서 [email protected]

② 동시호가(08:30 ~ 09:00/15:20 ~ 15:30)

동시호가는 매매가 이뤄지지 않을 때 접수된 대량 주문을 공정하게 처리하기 위해 마련된 것입니다. 이 시간대에 접수되는 주문은 동시에 낸 것으로 간주하고 다수 주문에 대해 단일가격을 적용해 거래를 성사시킵니다.

오전 8시 30분~9시까지 장 시작 동시호가 시간 동안의 주문을 9시에 모두 처리하고, 이때 확정된 금액이 ‘시가’가 됩니다. 그리고 3시 20분~3시 30분까지 장 마감 동시호가 시간 동안 주문을 3시 30분에 모두 처리하고, 이때 거래 금액이 당일의 ‘종가’가 됩니다.

동시호가를 보면 가격이 큰 폭으로 변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호재나 악재 없이 변동되는 동시호가는 큰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③시간 외 종가(08:30 ~ 08:40 / 거래 주문 15:40 ~ 16:00)

투자자에게 정규시간 외에 추가적인 매매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시간으로, 정규장 종료 후 및 장 개시 전 일정 시간 동안 정해진 가격으로 거래가 이뤄집니다. 장전 시간 외 종가는 전일 종가로 거래, 장후 시간 외 종가는 당일 종가로 거래가 됩니다. 시간 외 종가의 경우 거래량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④시간 외 단일가(16:00 ~ 18:00)

시간 외 단일가 매매시간에는 주문을 넣으면 바로 체결이 되지 않고, 10분 단위로 일괄적으로 체결이 진행됩니다. (동시호가 시스템) 10분 단위로 총 12번의 거래가 이뤄지고, 당일 종가의 10% 이내의 가격으로만 매매할 수 있습니다. 보통 시간 외 단일가에서는 거래도 많지 않고 거래 주문 주가 변동이 크지 않지만, 장 마감 후 호재가 나오거나 악재가 나오면 거래가 활발해지고 가격 변동폭이 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SEC, '개미 투자' 주식거래 주문 처리 방식 제동걸었다…업계는 우려

SEC,

개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코로나19 기간 중 미국 개미 투자자들의 광풍을 만들었던 로빈후드 등 소매 주식거래 플랫폼의 주문 처리방식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제동을 걸었다. 투자자들의 주문을 한꺼번에 모아 트레이딩 회사에서 처리하던 방식이 개인 투자자의 이익을 저해한다면서 개별 주문이 들어오면 곧바로 시장에 내놓아 경쟁입찰하는 방식으로 규정을 바꾸겠다고 제안한 것이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개리 겐슬러 SEC 위원장은 이날 화상 컨퍼런스를 통해 "직원들에게 우리 규정을 어떻게 하면 업데이트 할 수 있고 주식시장에서, 특히 소매 투자자들을 위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전체적인 관점을 찾아보라고 주문했었다"면서 이같은 제안을 내놨다.

현재는 개미 투자자들의 소액 거래는 90% 이상이 도매사업을 하는 트레이더로 전달돼 이들이 원하는 시점에 한꺼번에 처리되는 식으로 이뤄진다. 그동안 소규모 증권사는 고객의 주문정보를 공식 증권거래소가 아닌 초단타 매매를 하는 시타델 시큐리티와 같은 트레이딩 회사에 보내고 그 대가를 받아왔다. 개인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높은 로빈후드의 경우 거래 수수료를 무료로 하는 대신 이러한 주식 주문정보 판매로 수익을 내왔다.

이렇게 되면 개별 주문 건이 가장 거래하기 적절한 시점에 처리되기 어렵다는 것이 겐슬러 위원장의 판단이다. 그는 "현 시스템에서 소액 거래는 비용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우리 국내 시장 시스템이 투자자들에게 가능한 한 공정하고 경쟁력 있는 지 거래 주문 불분명하다"면서 "내 생각엔 소규모 투자자들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 이러한 논의가 초기 단계라면서 관련한 우려에 대해서도 귀를 기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함께 본 인기 뉴스

로빈후드와 같은 플랫폼 업계와 도매 거래를 하고 있는 트레이딩 회사들은 반발하고 나섰다. 미국 증권거래업체 시타델시큐리티의 조 메케인 책임은 "작은 변화가 시장에는 예상하기 힘든 엄청나게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 우려를 나타냈다. 로빈후드의 댄 갤러거 최고법률책임자(CLO)는 "지금 소액 투자하기 매우 좋은 환경이어서 여기에 개입해 방해하는 것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장후 시간외거래 방법 총정리 (장후 종가거래, 시간외단일가매매)

장후 시간외거래는, '장후 종가거래'와 '시간외단일가매매'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럼 먼저, 장후 종가거래부터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① 장후 종가거래

장후 종가거래란, 당일 종가로 거래할 수 있는 거래방법입니다.

오후 3시 30분에 종가가 결정되면,

오후 3시 40분까지 일단 모든 거래 체결은 중단됩니다.

오후 3시 40분부터 거래가 재개 되는데,

이 때부터 오후 4시까지는 당일 종가로 주식을 거래 할 수 있습니다.

장후 종가거래는, 장마감 직후 당일 종가로 오후 3시 40분부터 오후 4시까지 거래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물론, 장후 종가거래에 참여하려면, 주문을 넣어야 합니다.

다만, 주문접수는 3시 30분부터 가능합니다.

장후 종가거래 체결은 오후 3시 40분부터 시작되지만, 주문접수는 오후 3시 30분부터 가능합니다.

장후 종가거래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서,

매수 주문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주문종류로는, 장후 시간외거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장후 종가거래를 하려면, 주문 종류로는 장후 시간외거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주문가격은 이미 종가로 결정되어있기 때문에,

장후 종가거래의 경우에, 주문가격은 이미 종가로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주문가격창은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주문수량은, 예수금 잔고에 맞춰 원하는만큼 입력하시면 됩니다.

장후 종가거래의 경우에, 주문 수량은 잔고에 맞춰서 원하는 수량만큼 입력하시면 됩니다.

장후 종가거래를 위해서 주문종류와 주문수량을 모두 입력했다면, 매수버튼을 누릅니다.

매수버튼까지 누르게 되면, 장후 종가거래 주문이 접수됩니다.

물론, 이 거래가 체결되려면, 이 가격에 주식을 매도하겠다는 주문이 있어야 합니다.

만약, 주식을 매도하겠다는 주문이 있다면, 거래는 체결됩니다.

그런데, 장후 시간외거래는 이것이 끝이 아닙니다.

오후 4시부터 오후 6시까지, 추가적으로 매매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남아있습니다.

바로, '시간외 단일가매매'라는 거래 입니다.

② 시간외 단일가매매

시간외 단일가매매 란,

오후 4시부터 오후 6시까지,

10분 단위로 거래할 수 있는 매매방법 입니다.

즉, 오후 4시부터 오후 6시까지,

총 12번의 거래 기회 가 주어지는 것입니다.

10분 단위로 주문을 받은 다음,

매도호가수량과 매수호가수량이 합치되는 단일가격으로

매매거래를 성립시키게 됩니다.

물론, 시간외 단일가매매를 하려면, 주문을 제출해야 합니다.

매수 주문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키움증권의 경우에는, 별도의 시간외거래창을 열어야 합니다.

[주식거래] → [시간외단일가] → [0339] 시간외단일가주문종합

시간외단일가매매를 하려면, 키움증권의 경우에는, 별도로 마련된 '시간외단일가주문창'[0339]을 열어야 합니다.

주문종류로는, 단일가가 이미 지정되어 있습니다.

시간외단일가매매의 경우에, 주문종류로는 이미 '시간외단일가'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주문가격은, 당일 종가의 ±10% 이내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가격 역시 전일 종가의 ±30% 이내여야 합니다.

시간외단일가매매의 경우에, 주문가격은 당일 종가의 ± 10% 이내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주문수량은 예수금 잔액에 맞춰 원하는만큼 입력합니다.

시간외단일가매매의 거래 주문 경우에, 주문수량은 잔고에 맞춰서 원하는만큼 입력하시면 됩니다.

시간외단일가매매를 위해서 주문가격과 주문수량을 모두 입력했으면, 매수버튼을 누릅니다.

매수버튼을 누르면, 시간외단일가매매 주문이 접수됩니다.

오후 4시 이후, 매 10분이 되는 시점에 처리됩니다.

시간외단일가매매 주문은, 오후 4시 이후, 매 10분이 되는 시점에 처리됩니다.

만약, 체결되지 않는 주문이라면,

다음 10분 동안의 주문구간으로 자동 이월됩니다.

체결되지 않은 시간외단일가매매 주문은, 다음 10분 동안의 주문구간으로 자동 이월됩니다.

오후 6시에 마지막으로 주문을 체결시키는 것으로 종료됩니다.

시간외단일가매매는 오후 6시에 마지막으로 주문을 체결시키는 것으로 종료됩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시간외단일가매매까지 모두 마치면,

③ 시간외거래까지 종료되면?

이렇게 시간외단일가매매까지 종료되면, 주식시장은 정리를 시작합니다.

그런데 만약 접수는 되었지만 체결은 되지 않은 주문들이 남아 있다면,

그 다음 날로 주문들이 이월될까요?

미체결 상태로 남아있었던 주문들은, 모두 일괄 취소됩니다.

시간외거래장까지 끝나면, 미체결상태로 남아있었던 모든 주문들은 일괄 취소됩니다.

주식을 주문하려면, 다음 날 다시 새로운 주문을 제출해야 합니다.

장전 종가 거래와 동시호가주문으로 새로운 장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주식시장은 이렇게 운영됩니다.

이렇게, 장후 시간외거래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로, 장전 시간외 거래 방법에 대해서 알고 싶으신 분은, 이전 글을 참고해주세요.

장전 시간외거래 방법 총정리 (장전 종가거래, 장전 동시호가)

안녕하세요. 모두의 주식 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장전 시간외 거래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이 내용은 아래의 유튜브 영상을 통해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8개의 파이프라인

키움증권 HTS 화면

일단, 증권사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주문의 종류와 해당 주문을 사용할 수 있는 시간대가 다릅니다. 또한 미국에서 미국주식을 주문할 때보다 제약이 많기 때문에 영문자료는 참고만 하시고, 정확한 것은 거래하는 증권사에 문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문의 종류

지정가 주문

시장가 주문

의미는 다들 아실테니 패쓰. 미국주식은 상한가/하한가가 없고, 증권사 서버 및 해외망 불안정으로 인해 주문지연이 발생 하는 경우가 있어, 예상하지 못한 가격에 체결될 가능성이 국내주식보다 높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AFTER지정

키움증권은 AFTER마켓에서 주문시 AFTER지정을 사용해야 합니다. 타 증권사의 경우, 그냥 지정가 주문을 내면 되는 곳도 있습니다.

LOC(Limit on Close)

장 종료시 상대호가가 내가 지정한 가격보다 유리한 경우(매수인 경우 내가 사고자 하는 가격보다 낮을 때, 매도인 경우 내가 팔고자 하는 가격보다 높을 때) 주문이 체결됩니다. LOC 주문들은 가격(매수인 경우 높은 호가, 매도인 경우 낮은 호가) - 시간 우선순위에 따라 체결이 되기 때문에 상대호가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주문체결이 되지 않습니다.

미국 주식을 하다보면 장 막판에 지수가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런 날에 사용하면 좋은 주문입니다.(개인적으로 지정가와 더불어 가장 많이 쓰는 주문)

단, 가격이 안 맞거나 호가가 충분치 않으면 주문 체결이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거래해야 하는 경우 또는 거래량이 적은 주식을 매매 할 때는 사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또한 장 마감 약 10분 전부터는 LOC 주문 및 주문의 취소가 거래 주문 불가능합니다.(미국 기준 5분 전까지 주문할 수 있고, 10분 전부터 취소할 수 없는데, 국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약간 다른 것으로 보입니다. 정확한 기준 모르겠음. )

MOC(Limit on Close)

장 종료시 시장가에 주문이 체결됩니다. 마찬가지로 장 마감 약 10분 전부터는 주문 및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STOP 가격에 도달하면, 시장가 주문이 실행되는 주문입니다. 주문실행에 딜레이가 있기 때문에 실제로 얼마에 체결될지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STOP 가격 도달 후 바로 상승 또는 하락할 수 있기 때문이죠.

수량과 STOP 가격을 적어서 주문해야 합니다.

STOP LIMIT

STOP 가격에 도달하면, 지정가 주문이 실행되는 주문입니다.

수량, STOP 가격, 지정가를 적어서 주문해야 합니다.

VWAP, TWAP

주문한 수량을 장중에 나누어 체결시키는 알고리즘 매매입니다. VWAP은 수량 분할, TWAP은 시간 분할입니다.

현지 브로커의 알고리즘에 따르기 때문에 어떤 결과를 낳을지 예측이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증권사는 지정가 또는 지정가 & 시장가만 지원합니다. 키움증권과 신한금융투자가 지원하는 주문이 다양한 편이니 참고 바랍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